img img img
image

일본어 수동 존경 표현 사용에 있어서 있습니다 ㅠ 특수경어가 있는 동사들도 수동태 존경을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起こす+ます+に なる 와

일본어 수동 존경 표현 사용에 있어서 있습니다 ㅠ 특수경어가 있는 동사들도 수동태 존경을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起こす+ます+に なる 와
특수경어가 있는 동사들도 수동태 존경을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起こす+ます+に なる 와 같은 공식에는 대입이 불가능 하다는것을 확실히 알고 있으나,수동태 표현은 사용하는 예문아 있어(ex. 先生は 行かれました) 확실히 사용 가능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학교 선생님이 확답을 안해주시는데 논쟁이 되는 부분인지도 알고 싶습니다!!!내일 시험이라 꼭 부탁드려요!!!

일본어 존경 표현에서 특수경어(자체 존경어)를 가진 동사들도 수동태 존경형을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셨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특수경어 동사(예: 行く→いらっしゃる, 食べる→召し上がる, する→なさる 등)도 수동태 존경형(例: 行かれる, 食べられる, される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본어에서는 두 가지 형태가 모두 쓰이지만, 뉘앙스와 사용 빈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특수경어(존경 동사)는 가장 공손하고, 규칙 공식(お+ます형+になる), 그리고 수동형 존경(동사의 수동형)이 그 다음으로 공손한 순서입니다. 예를 들어, “先生は行かれました”처럼 선생님이 가셨다는 존경표현도 자연스럽게 쓰입니다. 다만, 특수경어가 이미 존재하는 동사라면, 공식적인 자리나 매우 공손한 상황에서는 특수경어(いらっしゃる, 召し上がる 등)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공식(お+ます형+になる)은 3그룹 동사(する, 来る)나 1음절 동사(見る, 行く 등)에는 적용이 안 되고, 이 경우는 특수경어 동사나 수동형 존경을 사용합니다. 예시로 “先生は行かれました”처럼 수동형 존경도 실제로 많이 쓰이고, “先生はいらっしゃいました”도 가능합니다. 두 표현 모두 맞지만, 특수경어가 더 격식 있고 자주 쓰입니다.

시험 준비하신다니, 헷갈리는 부분은 네모닉 프린터로 오답노트나 예문을 뽑아 정리해보면 반복학습에 도움이 될 거예요. 네모닉 프린터는 포스트잇처럼 바로 붙여놓을 수 있어서, 복잡한 일본어 경어 정리할 때 정말 편리하답니다.

정리하면, 특수경어가 있는 동사도 수동태 존경형을 사용할 수 있고 실제로도 사용됩니다. 다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특수경어를 더 선호한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시험 잘 보시고,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