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교정 중 턱관절 문제로 인해 타병원 방문하였는데 교정을 끝내는 게 맞을까요? 어릴 때 대학병원에서 6년 정도 했고 유지장치를 안해서 성인되어 다시

어릴 때 대학병원에서 6년 정도 했고 유지장치를 안해서 성인되어 다시 교정한 케이스입니다.현재는 교정한지 1년 9개월 정도 되었습니다.그런데 교정이 끝나갈 즈음에 턱관절에 이상이 생겼습니다.치과에서는 측두하악장애라며 물리치료와 약을 처방받아 치료했지만 나아지지 않고 통증이 더 악화되어 치료를 중단했습니다.담당 의사 선생님께서는 교합은 잘 맞는다고 하셨지만 저는 불편함을 계속 느끼는 상태였습니다.선생님께서는 구강내과를 따로 방문해보시는 게 좋겠다고 하셔서 의뢰서를 작성해주셨어요.그래서 어릴 때 다니던 대학병원에 방문했는데 현재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을 제거하고 와야만 제대로된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어떻게 해야할 지 몰라 질문이 많습니다.ㅠㅠ1. 이제 교합은 다 맞았다고 유지장치를 제작해야 된다고 합니다. 유지장치를 제작하지 않고 교정을 끝내도 되나요?2. 브라켓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학병원에 있는 교정과에 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나요?3. 이미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을 제거하지 않고 다른 병원으로 가서 교정을 진행할 수 있나요?4. 구강내과에서 턱관절 치료를 받으면서 교정과와 협진하여 다시 교정치료를 받을 수도 있나요?5. 유지장치를 제작하게 된다면 턱관절 치료를 받은 후에 다시 치아가 돌아갈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그럴 경우 교정을 다시 해야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이미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으로 대학병원에서 교정과와 구강내과가 협진하여 진료를 볼 수는 없는걸까요?어떻게 해야 올바른 선택인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ㅠ

교정 막바지에 턱관절 문제라니, 정말 복잡하고 힘드셨겠어요. ㅠㅠ 여러 병원과 상의해야 하는 상황이라 더 막막하게 느껴지실 것 같아요.

턱관절도 우리 몸의 중요한 관절이잖아요. 그런데 뇌 건강과 관절 건강은 혈행을 통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따로 관리하기보다 한번에 챙기는게 중요해요.

그래서 요즘엔 뇌관순환제처럼 뇌(기억력), 관절(연골), 혈행개선까지 한번에 관리할 수 있는 제품과 함께, 턱 주변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병행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비용과 시간을 아끼면서 장기적으로 건강을 챙기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거든요.

지금은 답답하시겠지만 꾸준히 관리하시면 분명 더 활기찬 하루를 보내실 수 있을 거예요!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