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유발 히라리의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이라는 책의 줄거리를 좀 길게

유발 히라리의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이라는 책의 줄거리를 좀 길게 요약해주세요! 챕터가 좀 나뉘어져 있던데 나눠서 그 부분의 핵심내용과 인상 깊은 구절 등 써주세요! 내공 엄청 많이 드릴게요 감상평도 부탁드려요 특히 테러 중심으로 잘 써주세요

유발 하라리의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21 Lessons for the 21st Century)』 은 인류가 당면한 문제들을 다섯 가지 큰 주제 ― 기술, 정치, 절망과 희망, 진실, 회복력 ― 로 나눠서 21개의 짧은 강연 형식으로 풀어낸 책이에요. 요청하신 대로 챕터별 핵심과 “테러” 관련 부분 중심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

주요 내용 요약 (주제별로)

1부. 기술적 도전

Disillusionment (환멸) : 21세기는 과거의 거대 이데올로기(자유주의, 공산주의, 파시즘)가 힘을 잃은 시대라는 걸 짚습니다. 대신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새로운 권력이 됨.

Work (일) : AI와 자동화로 인해 수많은 직업이 사라지고, ‘쓸모없는 계급(useless class)’이 생겨날 수 있다고 경고.

Liberty (자유) : 데이터 독재(dataism)가 자유를 위협할 수 있음. 개인보다 알고리즘이 나를 더 잘 알게 되는 시대.

2부. 정치적 도전

Community (공동체) : 국경은 있지만 문제는 글로벌하다(테러, 환경, 기술). 국가주의로는 해결 불가.

Civilization (문명) : 충돌보다는 상호 연결을 강조.

Nationalism (민족주의) : 민족주의는 매력적이지만 기후 변화, 테러, 사이버 공격은 국경 초월 문제라 한계가 큼.

Religion (종교) : 종교는 여전히 정체성과 의미를 제공하지만, 세계 문제 해결책은 과학과 협력이 더 중요.

Immigration (이민) : 다문화주의와 국수주의 사이 갈등.

3부. 절망과 희망

Terrorism (테러) :

하라리는 테러를 실제 파괴력보다 ‘공포를 퍼뜨리는 심리전’ 으로 봅니다.

“테러리스트는 사람을 죽이는 게 목적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공포에 굴복하게 만드는 게 목적이다.”

실제 피해보다 과장된 두려움 때문에 정부가 과잉 반응하고, 사회가 분열될 때 테러는 성공하는 것.

해결책: 냉정함을 유지하고, 비례적으로 대응하며, 사회적 단결을 지키는 것.

War (전쟁) : 핵 억지와 글로벌 경제 의존성 덕분에 초강대국 간 전쟁 가능성은 과거보다 낮음.

Humility (겸손) : 어느 국가·문화도 절대적 진리를 독점할 수 없음.

4부. 진실

Ignorance (무지) : 정보의 홍수 속에서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게 중요.

Justice (정의) : 글로벌 차원에서 불평등과 기후 위기 대응 필요.

Post-truth (탈진실) : 사람들은 진실보다 ‘감정에 맞는 이야기’를 믿는 경향. 가짜 뉴스와 선동이 사회적 위협.

Science Fiction (과학 소설) : 미래를 상상하는 데 중요한 도구.

5부. 회복력

Education (교육) : 기계보다 인간이 잘할 수 있는 능력(비판적 사고, 창의력, 협업, 감정 지능)을 길러야 함.

Meaning (의미) : 인생의 의미는 외부가 아닌 자기 안에서 찾아야 함.

Meditation (명상) : 하라리가 실제로 불교 명상을 하며 얻은 통찰을 소개. 마음을 들여다보고, 기술과 정보 홍수 속에서 자신을 잃지 않는 방법으로 제시.

---

✨ 인상 깊은 구절

“테러리스트는 우리의 상상력을 장악함으로써 우리보다 강해진다.”

“인류는 외부의 적보다 내부의 두려움 때문에 더 자주 무너진다.”

“21세기의 가장 큰 도전은 기술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을 이해하고 다스리는 것이다.”

---

감상평 (특히 테러 관련)

하라리가 말하는 테러에 대한 시각은 굉장히 차분하고 현실적이에요. 테러를 과도하게 공포의 대상으로 삼으면, 실제 피해보다 더 큰 사회적 손실을 자초한다는 점은 특히 공감됐습니다. 예를 들어 작은 공격에도 정치·사회가 과잉 반응하면서 서로 불신이 커지고, 인권과 자유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죠.

즉, 테러의 본질은 심리적 전쟁이고, 이를 극복하는 힘은 군사력이 아니라 사회적 단결과 이성적 대응이라는 메시지가 강하게 와닿습니다. 요즘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를 고민하게 해주는 부분이에요.

---

혹시 이 요약을 학교 독후감 과제용으로 쓰려는 거야? 아니면 개인적으로 읽고 정리하고 싶은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