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는 오버클럭 방식이 수동오버(클럭고정) PBO(자동오버) 커브옵티마이져(PBO+언더볼팅)으로 나누어집니다. 일단 수동오버의 경우 클럭수율(tsmc finfet)로 인해 제품마다 다르긴 하지만 4.7~4.8G가 마지노선클럭으로 여겨집니다. 쿨러의 경우 5600X에 커버가 가능한 수준이긴 합니다.
여기서 공식 권장사양을 벗어나는 오버클럭은 수동오버와 커브옵티마이져이고 PBO의 경우는 공식범위(보증도 포함)에 포함됩니다 잘 모르시는 사용자 분은 그냥 PBO만 키고 사용하세요(바이오스 진입방법은 f2/del중 하나 누르면 진입됨 일부 oem제품 제외하고 대부분del방식 사용)
https://www.youtube.com/watch?v=JDl5934g42w&pp=ygUJUEJv7YKk6riw
그리고 배그는 램 오버클럭에 의한 성능영향이 큽니다. 잘 모르시는것 같아 오버클럭 자체를 권장은 안드리지만 하단 영상을 보고 램오버를 시도해보시는편이 더 나을겁니다(동일한 DDR4플렛폼)
https://www.youtube.com/watch?v=ULQkLGDkfek&pp=ygUQ67uY7KeTIOueqOyYpOuyhA%3D%3D
그리고 베그는 최적화가 심각할정도로 안되어있는지라 5600은 물론 더 상위 프로세서인 7500F조차 프래임이 낮아 많은 유튜버들이 견적에 9600X을 최소사양으로 권장하고있는중입니다. 다른 게임은 문제없지만 유독 배그만 그런다하네요(배그는 CPU+RAM영향이 큼)